접수현황 :
/
신청기간이 아닙니다.
강동구 도시농업기초과정을 수료한 구민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도시농업전문가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입니다.
도시농업기초과정 수료자
80시간 이상
강동구청 도시농업과 02-3425-6545
회차 |
배움일 |
이론 |
실습 |
교 육 내 용 |
비고 |
1 |
8. 11.(수) |
3 |
|
개강식, 오리엔테이션, 도시농업전문가의 역할과 의무 |
이론 |
2 |
8. 13.(금) |
|
3 |
행복한 도시농업 공동체를 위한 의사소통법 |
실습 |
3 |
8. 18.(수) |
3 |
|
농사 계획 및 가을작물 재배법 |
이론 |
4 |
8. 20.(금) |
|
3 |
텃밭 디자인 및 밭 만들기, 파종하기, 모종심기 |
실습 |
5 |
8. 25.(수) |
3 |
|
퇴비공작소- 거의 모든 음식물찌꺼기의 퇴비화 _이론 |
이론 |
6 |
8. 27.(금) |
|
3 |
도시자원을 활용한 퇴비, 액비 만들기_ 실습 |
실습 |
7 |
9. 01.(수) |
3 |
|
생태순환 농사를 위한 토양인문학 |
이론 |
8 |
9. 03.(금) |
|
3 |
병해충의 피해와 방제법, 자연농약 만들기 |
실습 |
9 |
9. 08.(수) |
3 |
|
생태순환 농사를 위한 토양학개론 |
이론 |
10 |
9. 10.(금) |
|
3 |
작물 관리, 토양관리, 쪽파심기, 갓 씨앗 뿌리기 |
실습 |
11 |
9. 15.(수) |
3 |
|
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농업의 역할 |
이론 |
12 |
9. 17.(금) |
|
3 |
텃밭 곤충의 종류와 텃밭 생태계 – 텃밭 생물 동정 |
실습 |
13 |
9. 24.(금) |
|
3 |
텃밭생태계의 이해 및 활용 - 풀 |
실습 |
14 |
9. 29.(수) |
3 |
|
먹거리와 생태계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농업의 이해 |
이론 |
15 |
10. 01.(금) |
|
3 |
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농업 적정기술 |
실습 |
16 |
10. 06.(수) |
3 |
|
도시 논농사와 토종벼 재배의 의의 |
이론 |
17 |
10. 08.(금) |
|
3 |
미래세대를 위한 텃밭프로그램 – 텃밭놀이, 자연놀이 |
실습 |
18 |
10. 13.(수) |
3 |
|
퍼머컬쳐와 전환마을 |
이론 |
19 |
10. 15.(금) |
|
3 |
토종 종자 보존의 필요성 및 채종법 |
실습 |
20 |
10. 20.(수) |
3 |
|
겨울 작물 재배법 |
이론 |
21 |
10. 22.(금) |
|
3 |
가을 작물 재배 관리, 겨울작물 밭만들기 |
실습 |
22 |
10. 27.(수) |
3 |
|
24절기와 농사이야기, 전통농업 |
이론 |
23 |
10. 29.(금) |
|
3 |
겨울작물 심기, 밀/보리/마늘/양파 |
실습 |
24 |
11. 03.(수) |
3 |
|
자원순환 사회와 도시농업의 역할 |
이론 |
25 |
11. 05.(금) |
|
3 |
도시텃밭 공동체 밥상의 중요성 및 활용/ 무수확 |
실습 |
26 |
11. 10.(수) |
1 |
2 |
경작발표 및 평가 |
이론 및 실습 |
27 |
11. 12.(금) |
3 |
|
발전방향 워크숍 및 수료식 |
이론 |